존 카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카디는 1947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이론 물리학자이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에서 교수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공형장론에 기여했으며, 카디 공식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1년 왕립 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으며, 폴 디랙상, 라스 온사거상, 볼츠만 메달, ICTP 디랙 메달, 기초 물리학 브레이크스루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임브리지 대학교 다우닝 칼리지 교수 - 마이클 앱티드
마이클 앱티드는 영국의 영화 및 텔레비전 감독이자 제작자로, '업 시리즈'를 비롯한 다수의 작품을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미국감독조합 회장을 역임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다우닝 칼리지 교수 - 존 채드윅
존 채드윅은 영국의 고전학자이자 암호학자로, 마이클 벤트리스와 함께 미케네 문명의 선형 B 문자를 해독했으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가르치고 미케네 문명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다우닝 칼리지 동문 - 존 클리즈
존 클리즈는 잉글랜드의 배우, 희극인, 작가, 영화 제작자로, 1960년대 코미디 그룹 활동을 시작하여 TV 프로그램과 몬티 파이튼, 시트콤 폴티 타워 등을 통해 인기를 얻었으며, 영화 각본 및 출연, 사회 정치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다우닝 칼리지 동문 - 마이클 앱티드
마이클 앱티드는 영국의 영화 및 텔레비전 감독이자 제작자로, '업 시리즈'를 비롯한 다수의 작품을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미국감독조합 회장을 역임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 로저 펜로즈
로저 펜로즈는 수학, 물리학 분야에서 일반 상대성이론, 우주론, 양자 중력 이론 연구에 기여하고 펜로즈 타일링을 발견했으며, 등각순환우주론을 제안하고 의식의 양자적 해석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한 학자이다. - 옥스퍼드 대학교 - 머튼 칼리지
1264년 월터 드 머튼에 의해 설립된 머튼 칼리지는 옥스퍼드 대학교 소속의 가장 오래된 칼리지 중 하나로, 독립적인 재정과 자치권을 가지며, 노벨상 수상자 및 리즈 트러스 전 총리를 배출했고, 역사적인 건물들과 학문적 우수성을 자랑한다.
존 카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존 로런스 카디 |
로마자 표기 | Jon Loreonseu Kadi |
한자 표기 | 约翰·劳伦斯·卡迪 |
출생 | 1947년 3월 19일 |
출생지 | 영국, 잉글랜드 |
국적 | 영국, 미국 |
연구 분야 | 이론물리학 |
소속 |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모교 | 케임브리지 대학교 |
지도 학생 | 휴 프라이스 파스칼 푸아트라스 |
업적 | |
주요 업적 | 공형 장론 양자 급랭 |
수상 | 영국 물리학 협회 디랙 메달 (2000년) 라르스 온사게르 상 (2004년) 볼츠만 메달 (2010년) 국제 이론 물리학 센터 디랙 메달 (2011년) 기초 물리학 브레이크스루 상 (2024년) |
경력 | |
주요 경력 | CERN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올 소울즈 칼리지, 옥스퍼드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
학문적 배경 | |
학문 분야 | 이론물리학, 통계물리학, 응집물질물리학 |
영향 | 마이클 피셔 |
2. 생애
1947년 3월 19일 잉글랜드에서 태어났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마치고, 1971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7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에서 교수가 되었다. 1993년 옥스퍼드 대학교로 옮겼다. 1991년 왕립 학회 펠로우로 선출되었다.
존 카디는 이론 통계역학과 물성물리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형장론에 기여했으며, 특히 카디 공식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차원 임계 현상, 얽힘 엔트로피 등 통계역학과 양자장론의 다양한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3. 주요 업적
3. 1. 등각장론 및 통계역학 연구
이론 통계역학과 물성물리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공형장론에 기여했으며, 특히 카디 공식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차원 임계 현상, 얽힘 엔트로피 등 통계역학 및 양자장론의 다양한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3. 2. 주요 논문 및 저서
4. 수상
연도 | 수상 |
---|---|
2000년 | 폴 디랙상 |
2004년 | 라스 온사거상 |
2010년 | 볼츠만상 |
2011년 | ICTP 디랙 메달 |
2024년 | 기초 물리학 브레이크스루상 |
참조
[1]
간행물
Guggenheim Foundation: Annual Report 1985
[2]
웹사이트
Directory of Fellows and Foreign Members
http://royalsociety.[...]
The Royal Society
2009-11-12
[3]
웹사이트
Recipients of the Dirac medal of the Institute of Physics
http://www.iop.org/a[...]
Institute of Physics
2009-11-12
[4]
웹사이트
Prize Recipient
http://www.aps.org/p[...]
American Physical Society
2009-11-12
[5]
웹사이트
Boltzmann Medal
http://www.ms.unimel[...]
University of Melbourne
2010-02-08
[6]
웹사이트
Dirac Medallists 2011
http://prizes.ictp.i[...]
2011-08-10
[7]
웹사이트
BREAKTHROUGH PRIZE ANNOUNCES 2024 LAUREATES IN LIFE SCIENCES, FUNDAMENTAL PHYSICS, AND MATHEMATICS
https://breakthrough[...]
2023-09-14
[8]
학술지
Critical Percolation in Finite Geometries
https://arxiv.org/ab[...]
1992-02-21
[9]
학술지
Critical percolation in finite geometries
1992-02-21
[10]
학술지
Critical percolation in finite geometries
1992-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